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백현동 개발 비리 사건과 관련된 최신 소식을 전해드릴게요. 이번 사건에 연루된 곽정기 전 총경(변호사)과 임정혁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가 강제 수사를 받고 있으며, 그들은 정당한 변호사 수임료를 받은 것을 주장하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고위직 출신 변호사들의 주장
서울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장 출신인 곽정기 전 총경(변호사)은 이 사건과 관련하여 수사 무마나 로비 의혹은 전혀 없었고 사실이 아니다라며 (돈은) 정상적인 변호사 선임 계약을 통해 받은 수임료라고 주장했습니다. 곽 전 총경은 이 사건을 수사하기 위해 전담팀을 꾸렸으며, 작년 6월부터 석 달 동안 경찰 수사 대응을 맡아 방대한 양의 자료를 검토하고 수사 대응 및 변론 자료를 만들었다고 밝혔습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정씨로부터 받은 7억여원의 수임료는 곽 전 총경 개인이 아닌 전담팀의 총 경찰 단계 변호비였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변호사 수임료로 1억여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임정혁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도 이 사건과 관련하여 정씨와 정식으로 선임 계약을 했고 선임서도 서울변회에 보냈다. 검찰은 전날 압수수색 과정에서 선임서를 확보했다고 주장하며 수사 무마 의혹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검찰의 입장
검찰은 이날 두 변호사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하며 정씨 사건 관련 자료를 상당수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이 두 변호사의 수임료에 수사기관을 상대로 한 수사 무마 청탁 대가 명목의 돈이 포함되어 있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앞서 지난 20일에 정씨로부터 수사 무마 청탁을 대가로 13억원을 받은 법조 브로커 이동규 KH부동산디벨롭먼트 회장을 구속 기소한 바 있습니다.
검찰은 또한 이씨가 정씨에게 검경 전관 변호사를 소개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씨는 서울 서초동 법조타운에 개인 사무실을 두고 정씨에게 유력 전관 변호사를 소개하는 등 활동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임정혁 전 고검장은 대검 공안부장,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 등을 역임한 공안통으로 평가되며, 서울고검장과 대검 차장검사, 법무연수원장 등을 거쳐 2016년 2월부터 변호사로 활동 중입니다.
결론
검찰은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관련자를 소환하여 정확한 사건 수임과 금품수수 경위, 수사 무마 등 청탁의 실현 여부 등을 조사할 예정입니다. 이번 백현동 개발 비리 사건은 여전히 수많은 미궁에 휩싸여 있으며, 미래의 전개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도 관련 소식을 주시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