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신림 흉기 난동'을 계기로 '묻지마 범죄'가 늘어나면서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와 경찰은 긴급한 대책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만, 전문가들은 일시적인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정말로 묻지마 범죄를 막기 위해서는 어떤 대안이 필요할까요? 우선은 순찰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수사와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신질환자 치료시설 연계와 소외계층 지원 확대 등 사회안전망을 확충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대책은 '가석방 없는 종신형' 도입입니다. 현재의 가석방 심사 대상에서 제외되어 복역 20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구금의 형이 부과되는 이 형법은 실질적인 사형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사형제 부활'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극형 도입의 효과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여전히 의견이 갈려지고 있습니다. 어떤 연구는 극형이 범죄 예방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한국형사정책연구원도 사형제도의 범죄 예방 효과를 판단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순찰의 한계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묻지마 범죄의 특성상 범죄 시간과 장소를 미리 예상할 수 없으며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순찰의 효과도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의무경찰의 감소로 순찰 인원을 보충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요? 전문가들은 순찰과 극형 도입과는 별개로 사회 안전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의 정신 건강에 대한 국가적인 개입이 무방비 상태라는 의견도 있으며, 정신질환자 치료시설 연계와 소외계층 지원의 강화를 통해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