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한국 사회를 강타하고 있는 '이념 논쟁'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독립영웅 흉상 이전 문제로 불거진 이 논쟁은 정치권의 화두가 되어 블랙홀처럼 빨려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국의 분단 상황과 세계사적인 흐름을 고려할 때, 국가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예민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논쟁을 시민들의 시선에서 바라보면 그 모습이 그리 만족스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일상적인 문제들은 뒤로하고 각각의 진영 논리만을 따지며 이런 싸움이 벌어진다는 점에 대한 불만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CBS노컷뉴스의 취재진이 번화가와 지역 공원에서 만난 시민들은 거부감을 표출하며 대부분 싸늘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대학생 김도현(24)씨는 나라의 안위보다 앞선 이념은 없다. 나라 꼴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정말 걱정이다라고 우려했습니다. 취업 준비생 박모(24)씨는 이념 논쟁 자체는 관심 없다면서도 정치 싸움을 위해 공산주의 같은 이름을 이용하는 듯한데 너무 색깔로 나뉘는 것 같다고 언급했습니다.
서울 양천구에 사는 진모(76)씨는 이런 걸로 싸울 때가 아니다라며 다른 나라와 제대로 경쟁하려면 과거를 따지기보다 당장의 내실을 다져야 하지 않겠냐라고 반문했습니다. 시민사회의 단체들은 특히 이번 논란을 촉발한 정부 여당, 특히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시민단체 '정치하는 엄마들'의 박민아 공동대표는 대선 때 있었던 '젠더 갈라치기'처럼 지금은 '이념 갈라치기'를 하는 것 같다며 그런데 국민들이 고작 갈라치기에 표를 던지는 수준이겠냐. 국민을 너무 우습게 보는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서 빨갱이니 아니니 하는 '싸움의 목소리'만 계속 나오는데 이게 정말 이렇게까지 싸울 문제냐라며 기후위기, 출생률, 아동복지, 공공의료, 공공돌봄 등 중요한 문제가 쌓이는 데 대한 회피용 갈등만 만들어 내는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민생경제연구소 안진걸 소장은 사실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이념을 따지냐'라는 말은 1980~90년대 군사독재정권이나 보수 쪽에서 주로 하던 얘기라며 그런데 지금은 외려 그들이 '공산전체주의'라는 이상한 말까지 만들어 정권을 지적하는 사람들을 짓밟는 데 이념을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러한 분열이 계속되면, 경제적인 상황에 대한 대응이 더욱 어려워질 우려가 큽니다. 금융정의연대 김득의 상임대표는 이념이 밥을 먹여주는 것도 아닌데 국론 분열만 초래하고 있다며 정부가 비리 재벌을 일괄 사면할 때 경제 위기라는 명분을 내걸고 있지만 그만큼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이런 상황에서 조선시대 때의 노론과 소론이 섞여 싸웠던 붕당정치를 연상시키며 중요 경제 지표들이 위기를 가리키는 지금 상황에서 낡아빠진 이념 논쟁은 결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민주노총 한상진 대변인은 윤 대통령이 본인 입으로 말했던 3대 개혁 국정과제까지도 밑도 끝도 없는 이념 논
쟁으로 완전히 덮여 버렸다며 도대체 뭘 바라고 이렇게 나라를 두 동강 내놓는지 화도 나고 한심하고 개탄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일부 강성 단체에서는 이대로 계속 가면 정권에 역풍이 불어닥칠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전국민중행동의 박석운 공동대표는 그러잖아도 정권의 온갖 민주파괴, 민생파탄, 평화위협 역주행 정책 때문에 시민사회는 화력을 집중하던 터였다면서 위기를 호도하는 의미로 딴에는 갈라치기를 시도했겠지만, 헛된 발악일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박근혜 정부 때 촛불집회 실무를 주도했던 안진걸 소장도 역사적으로 이렇게 국민과 싸우고 국민을 탄압하는 세력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예외 없이 다 쫓겨났다면서 이대로 간다면 윤석열 정권의 말로도 불을 보듯 뻔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현재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념 논쟁'은 국민들에게 큰 우려와 불만을 남기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치적인 이념 대립보다도 더 중요한 문제들이 미뤄지고 회피되는 상황에서, 민생과 경제적인 안정을 위해 진정한 협력과 다양한 관점의 토론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